맨위로가기

낙원동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원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일제강점기에 탑골공원을 중심으로 교동, 탑동, 어의동 등의 일부를 병합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낙원동으로 명명된 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과거 서북학회회관으로 사용되었던 낙원동 교사는 단국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전신이 교육 시설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 낙원상가, 떡전거리, 탑골공원 등이 위치하며, 특히 낙원상가는 한국 최대의 악기 상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1970년대 후반부터는 한국 최대 규모의 게이 커뮤니티가 형성된 지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법정동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법정동 - 삼청동
    삼청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이름의 유래는 삼청전 또는 산, 물, 사람의 맑음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시대 진장방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는 주요 기관과 유적이 위치하고 안국역이 인근에 있다.
  • 1936년 폐지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36년 폐지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1975년 폐지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1975년 폐지 - 옥인동
    옥인동은 1914년 옥동과 인왕동을 통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옥류동천이 흐르던 지역으로 일제강점기 옥인정으로 불리다가 해방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수성동 계곡, 박노수 가옥, 윤동주 하숙집 터 등이 있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다.
낙원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낙원동
한자樂園洞
로마자 표기Nagwon-dong
매큔-라이샤워 표기Nagwŏn-dong
일반 정보
국가대한민국
지역해당 없음
수도해당 없음
시장해당 없음
면적 각주해당 없음
면적 (km²)해당 없음
해발고도 각주해당 없음
해발고도 (m)해당 없음
인구 각주해당 없음
총인구해당 없음
인구 조사 시점해당 없음
인구 밀도 (km²)해당 없음
방언해당 없음
행정
법정동낙원동
행정동종로1·2·3·4가동
홈페이지종로1,2,3,4가 동주민센터
1982년의 모습. 사진의 중앙에 [[낙원상가]]가 보인다.
1982년의 모습. 사진의 중앙에 낙원상가가 보인다.

2. 연혁

연도내용
1396년중부경행방, 관인방, 정선방으로 관할
1751년중부경행방포전계, 오순덕계, 관인방대사동일패계, 이패계, 삼패계, 사패계, 정선방돈녕부상계, 돈녕부하계로 관할
1867년중부경행방여빈궁내계, 오순덕계, 관인방대사동일패계, 이패계, 삼패계, 사패계, 정선방동녕부상계, 돈녕부하계, 포전계로 관할
1894년중서경행방동구계주동, 어의동계어의동, 교동, 교동계어의궁동, 오순덕계어의동, 교동, 탑동계교동, 탑동, 포병계교동, 탑동, 관인방대사동계원동, 철물교계탑동, 정선방어의동계어의동, 돈녕계돈녕동으로 관할
1911년 4월 1일경성부 중부경행방, 관인방, 정선방으로 관할
1914년 3월 1일중부교동, 원동, 탑동, 한동, 어의동, 주동으로 관할
1914년 4월 1일낙원동으로 관할
1914년 9월 29일북부출장소 낙원동으로 관할
1915년 6월 1일경성부 낙원동으로 관할
1936년 4월 1일낙원정으로 관할
1943년 4월 1일종로구 낙원정으로 관할
1946년 10월 1일종로구 낙원동으로 관할
1970년 5월 5일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로 종각동(관철동·종로2가)과 탑동・대사동・전훈동을 통폐합한 낙원동이 신설되어 종로2가・관철동・낙원동・인사동・공평동・관훈동・견지동 일원을 관할[6]
1975년 10월 1일서울특별시조례 제981호에 의해 이전의 청진동과 낙원동 일부를 통폐합한 종로1가동이 신설되어 종로1가・청진동・서린동・수송동・중학동・공평동・관훈동・견지동 일원을 관할하고, 이전의 권농동과 낙원동 일부를 통폐합한 종로2가동이 신설되어 권농동과 운니동・와룡동(1번지 제외)・익선동・경운동・관철동・인사동・낙원동・종로2가 일대를 관할
1977년 9월 1일서울특별시조례 제1181호에 의해 이전의 종로1가동과 종로2가동을 통합한 종로1・2가동이 신설되어, 종로1가・종로2가・청진동・서린동・수송동・중학동・공평동・관훈동・견지동・와룡동(1번지 제외)・권농동・운니동・익선동・경운동・관철동・인사동・낙원동 일대를 관할


3. 지명 유래

낙원동이라는 지명은 일제가 원래의 지명과는 관계 없이 붙인 이름이다. 1914년 4월 1일 교동, 탑동, 어의동, 주동의 각 일부와 한동, 원동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시내 중앙에 낙원지인 탑골공원(일명 파고다공원)이 있어 '낙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7]

3. 1. 역사적 배경

이곳은 일본 제국의 통치가 시작된 후 1914년 4월 1일 동명 제정에 따라 이전 중부 경행방 교동, 탑동, 어의동, 주동의 각 일부와 정선방의 한동과 관인방의 원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조선 고종 34년(1897년)에 영국인 브라운의 설계로 공원이 조성되어 1920년 대중에게 개방되었다.[7]

처음에는 ‘파고다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했지만 주로 탑공원, 탑동공원, 탑골공원으로 불렸다. 비록 설계는 영국인이 하였지만 종로 중심에 시민들의 낙원지라 할 만한 탑골공원이 순수한 한국인의 손으로 건축되어 시민들의 인기가 좋았으므로 낙원동이라는 동명이 새로 생겨났다. 그러나 예부터 이곳을 지칭하던 교동, 탑동, 어의동, 주동, 한동, 원동은 한 세대가 지나도록 낙원동과 함께 쓰였다.[7]

낙원동은 청계천종로의 윗동네라는 이름에서 북촌(北村)이라고 불리는 곳에 인접하여 궁궐과 관련이 깊고 일찍부터 서울의 중심 지역으로 되어 온 곳이다. 교동(校洞)은 경운동과 인접지역인데 낙원동 280번지에 향교(鄕校)가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다. 향교동 혹은 향굣골이라고도 하며 현재 법정동으로 낙원동 271~283번지 일대이다.

또한 돌로 된 우물이 있어 돌우물골로, 향교가 있었다고 향굣골로 명칭이 연유하지만 낙원동은 1914년 4월 1일 동명 제정 때 시내 중앙의 낙원지라 할만한 탑골공원이 위치하고 있었던 데서 낙을, 이곳에 있던 원동園洞이라는 동리 명칭에서 원을 따와 합성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원동園洞은 인사동과 낙원동에 걸쳐 있는 마을로 원골이라고도 부른다. 탑동塔洞은 탑골이라고도 부른다. 한동漢洞은 한양동漢陽洞·한양골이라고도 부르는데 낙원동·익선동·돈의동에 걸쳐 있는 마을이다. 고려 때 한양에 남경南京을 정하고 이궁까지 설치했는데 이 일대가 한양고을의 중심이 되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4. 교육 및 문화 시설

낙원동 교사는 3층 양옥 건물로, 1층은 반지하였다. 연건평은 395m2였다. 1886년 서울 중구 정동에 건평 200m2 규모의 한식 기와집에서 시작된 초창기 이화학당보다는 훨씬 컸다. 이곳에서 단국대건국대(설립인가 순)가 처음 시작되었고, 국민대는 설립 기성회의 임시 사무실로 사용했다.[8]

1908년 서북 출신의 박은식, 이갑, 이동휘, 안창호 등이 서울에서 서북학회를 만들고 회관 건립에 착수, 33명의 공동 소유로 이 건물을 지었다. 건물은 청나라 기술자를 불러들여 지었고, 당시에는 보기 드문 현대식 건축물이어서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미 독립 선언서처럼 33명의 이름으로 지어진 것이 특이하다.[8] 3·1 운동 11년 전, 건물을 33명의 이름으로 지었다는 것과 3·1 운동이 일어난 탑골공원과 가깝다는 점, 그리고 3·1 운동의 민족대표가 33인이었다는 것은 3·1 운동에서 서북 출신 인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이 낙원동 건물은 낙원동 282번지에 있었는데, 서북 출신 인물들이 지었다고 해서 '''서북회관'''으로도 알려져 있다. 1908년 11월 2일에 준공하여 서북협성학교(광신상업학교 전신)의 교사로 쓰였고, 1910년 10월 1일 협성학교가 오성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확장하여 중등과정의 신식교육을 담당하는 오성학교 교사 건물로 쓰였다. 그러나 오성학교는 1918년 4월 1일 일제에 의해 강제 폐교된다.

1918년 보성전문학교가 이곳에 들어서 4년 동안 교사로 사용했다. 1939년 보성전문은 천도교총부가 있는 송현동으로 자리를 옮겼다. 협성학교는 1921년 4월 1일 최시준의 사재로 오성강습소로 다시 개교, 1922년 3월 1일 협성학교, 1927년 7월 1일 협성실업학교, 1940년 7월 1일 광신상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3년 4월 1일 회기동 신교사를 짓고 옮겨졌다. (광신중학교 연혁참조)[8]

서북회관은 이후 백화점의 박흥식이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운영하다가, 민중병원을 운영하던 함경남도 단천 출신의 건국대 설립자 유석창에게 건물의 소유가 넘어갔다. 1977년 건물은 도시계획으로 철거·해체되었고, 1985년 건국대학교 교정 안으로 이전·복원되어 현재 군자동 건국대 내의 상허기념관으로 활용하면서 등록문화재 제53호 '''서북학회회관'''(西北學會會館)으로 등록되어 있다.

4. 1. 낙원동 교사 (서북학회회관)

서울 종로구에 있었던 낙원동 교사 모습. 1908년 11월 2일 준공되어 서북회관으로도 불렸다.


'''낙원동 교사'''는 3층 양옥 건물이었는데, 1층은 반지하였다. 연건평은 395m2였다. 1886년 서울 중구 정동에 건평 200m2 규모의 한식 기와집에서 시작된 초창기 이화학당보다는 훨씬 컸다. 이곳에서 단국대건국대(설립인가 순)가 처음 시작되었고, 국민대는 설립 기성회의 임시 사무실로 사용했다.[8]

1908년 서북 출신의 박은식, 이갑, 이동휘, 안창호 등이 서울에서 서북학회를 만들고 회관 건립에 착수해 33명의 공동 소유로 이 건물을 지었다. 건물은 청나라 기술자를 불러들여 지었고, 당시에는 보기 드문 현대식 건축물이어서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미 독립 선언서처럼 33명의 이름으로 지어진 것이 특이하다.[8]

3·1 운동이 있기 11년 전이었는데, 건물을 33명의 이름으로 지었다는 것과 3·1 운동이 일어난 탑골공원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는 것, 그리고 3·1 운동의 민족대표가 33인이었다는 것은 3·1 운동에서 서북 출신 인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이 낙원동 건물은 낙원동 282번지에 있었는데, 서북 출신 인물들이 지었다고 해서 '''서북회관'''으로도 알려져 있다. 1908년 11월 2일에 준공하여 서북협성학교(광신상업학교 전신)의 교사로 쓰였고, 1910년 10월 1일 협성학교가 오성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확장하여 중등과정의 신식교육을 담당하는 오성학교 교사 건물로 쓰였다. 그러나 오성학교는 1918년 4월 1일 일제에 의해 강제 폐교된다.

1918년 같은 해에 이 곳에는 보성전문학교가 들어서서 4년 동안 교사로 사용했다. 1939년 보성전문은 교사를 천도교총부가 있는 송현동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협성학교는 1921년 4월 1일 최시준의 사재로 오성강습소로 다시 개교하였고, 1922년 3월 1일 협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27년 7월 1일 협성실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0년 7월 1일 다시 광신상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3년 4월 1일 회기동 신교사를 짓고 옮겨졌다. (광신중학교 연혁참조)[8]

서북회관은 이후 백화점의 박흥식이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운영하다가, 민중병원을 운영하던 함경남도 단천 출신의 건국대 설립자 유석창에게 건물의 소유가 넘어갔다. 이후 1977년 건물은 도시계획으로 철거·해체되었고, 1985년 건국대학교 교정 안으로 이전·복원되어 현재 군자동 건국대 내의 상허기념관으로 활용하면서 등록문화재 제53호 '''서북학회회관'''(西北學會會館)으로 등록되어 있다.

5. 관광

낙원동 떡집거리의 모습

  • 탑골공원 : 3·1 운동 당시 시민들과 학생들이 모여 만세를 외쳤으며, 학생 대표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팔각정이 잘 보존되고 있다.[9]
  • 낙원상가 : 악기 전문 상가이다.
  • 떡전거리 : 예로부터 남주북병(南酒北餠)이라 하여 북촌 일대에는 떡 문화가 유명했는데, 낙원동은 그러한 전통의 일부가 지금까지 내려오는 곳이다.[9]

5. 1. 탑골공원

3·1 운동 당시 시민들과 학생들이 이곳에 모여 만세를 외쳤으며, 당시 학생 대표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팔각정이 잘 보존되고 있다.[9] 법정동상으로는 종로2가에 편입되어 있다.

5. 2. 낙원상가

낙원상가는 악기 전문 상가이다. 1968년에 지어진 낙원상가는 기둥 기반의 복합 용도 건물로, 1층에는 4차선 도로와 그 아래 시장이 있고, 위층에는 아파트가 있다. 2층과 3층에는 수백 개의 악기 상점이 밀집해 있으며, 앰프, 스피커, 노래방 기기 등 다양한 악기와 음악 관련 장비를 판매하거나 수리하는 사람들이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다. 4층에는 과거 영화를 상영했던 '할리우드 극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노인들을 위한 '실버 극장' 영화, 독립 영화 및 기타 특별 영화를 상영하는 '서울아트시네마'와 '무용 뮤지컬 전용 극장'으로 바뀌었다.[4][5]

5. 3. 떡전거리

예로부터 남주북병(南酒北餠)이라 하여 북촌 일대에는 떡 문화가 유명했는데, 낙원동은 그러한 전통의 일부가 지금까지 내려오는 곳이다.[9]

5. 4. 낙원 악기 상점가

낙원상가는 한국 최대의 악기 전문 상가로, 인사동과 매우 가깝다.[4] 1968년에 지어진 낙원상가는 기둥 기반의 복합 용도 건물이다. 1층에는 4차선 도로와 그 아래 시장이 있고, 위층에는 아파트가 있다. 2층과 3층에는 수백 개의 악기 상점이 밀집해 있으며, 앰프, 스피커, 노래방 기기 등 다양한 악기와 음악 관련 장비를 판매하거나 수리한다.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를 위한 악기를 취급한다. 4층에는 과거 영화를 상영했던 '할리우드 극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노인들을 위한 '실버 극장', 독립 영화 등을 상영하는 '서울아트시네마'와 '무용 뮤지컬 전용 극장'으로 바뀌었다.[4][5]

6. 게이 커뮤니티

낙원동 일대는 한국에서 최대 규모의 게이 커뮤니티가 형성된 지역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파고다 극장을 중심으로 게이 남성 간의 만남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2005년 기준 낙원동 내의 게이바 등의 게이 업소는 85곳으로, 전체 업소의 19.2%를 차지하였다.[10]

참조

[1] 웹사이트 Enjoy a musical paradise at Nagwon Instrument Arcade http://www.korea.net[...] 2017-03-24
[2] 웹사이트 ko:낙원동 (Nagwon-dong 樂園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5-14
[3] 웹사이트 Nagwon-dong name's origin http://www.jongno.go[...] Jongno 1, 2, 3, 4 ga-dong Resident office website 2008-05-14
[4] 웹사이트 Nagwon Instrument Arcade http://english.visit[...]
[5] 웹사이트 Enjoy a musical paradise at Nagwon Instrument Arcade http://www.korea.net[...]
[6] 문서 당시 종각동과 낙원동으로 나눠 관리되었는데 이는 행정동과 그 관할구역인 법정동의 명칭이 서로 달라서 생기는 혼란과 불편을 덜기 위하여, 행정동명을 관할구역의 법정동과 명칭을 일치시키기 위한 제도에 따른 것이었다.(아래 동명유래 참조)
[7] 웹사이트 종로구청 동명유래 참조 http://tour.jongno.g[...]
[8] 뉴스 (17) 유서 깊은 낙원동 교사 - 신흥 사학의 산실 http://www.unn.net/C[...] 한국대학신문 2009-02-25
[9] 뉴스 <代를 잇는 家嶪> (25) 낙원떡집 ‥ 이승만 대통령부터 청와대 '60년 단골' https://www.hankyung[...] 2024-06-18
[10] 저널 게이 남성의 장소 형성 : 종로구 낙원동을 사례로 https://www-earticle[...]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